국민 60% “근로시간 확대 ‘부정적’ “…OECD “韓, 일터에서 너무 오랜 시간 보내”

“한국의 장시간 노동 문화, 일과 가정의 양립을 어렵게 만들고, 이로 인해 여성 고용률 OECD 평균 밑돌아” 지적

국민 10명 중 6명은 주 최대 52시간이 넘는 근로시간 확대가 ‘워라밸’(일과 생활의 균형)에 미칠 부정적 영향을 우려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실제 한국노총이 발표한 여론 조사 결과에서도 국민 절반 이상이 반대 입장을 드러냈다.

한국노총은 지난 달 30∼31일 여론조사기관 에스티아이에 의뢰해 전국 18∼59세 남녀 1000 명을 대상으로 윤석열 정부 노동정책에 대한 여론조사(95%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포인트)를 실시한 결과를 8일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정부가 주 최대 근로시간을 최대 69시간까지 확대하는 내용의 근로시간 개편안을 다시 추진하는 것”에 대한 견해를 묻자 3명 중 2명인 66.0%가 ‘반대’했다. ‘찬성’은 29.6%에 그친다.

또 “주 최대 근로시간이 52시간을 초과할 수 있도록 연장 근로시간을 확대하는 것이 노동자의 일과 생활의 균형을 실현하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엔 ‘부정적’(‘매우’ 47.4%·‘약간’ 13.1%)일 것이라는 응답이 60% 이상이었다.

반면 ‘근무시간을 노사 합의로 조정할 수 있는 유연근무제의 확대’에 대해선 ‘긍정적’인 영향을 예상한다는 응답이 61.1%로, ‘부정적’(33.3%)이라는 의견보다 많았다.

한국노총은 “이번 설문조사에서 응답자의 52.8%가 부양가족수, 근속연수, 경력 등과 관계없이 직무 및 성과에 따라 임금을 받는 ‘직무·성과급 임금체계’ 도입에 반대했다”고도 전했다.

기사원문 :https://www.segye.com/newsView/202311085109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