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장 보선 양자대결, 20%p 내외 큰 격차
■ 오세훈 51.8% > 박영선 33.1%
■ 안철수 53.7% > 박영선 32.3%
서울시장 보궐선거 가상 양자대결에서 여야 후보간에 20%p 안팎으로 큰 격차를 보였다. 이 같은 결과는 여론조사 전문기관 ㈜에스티아이(대표 이준호)가 3월 12일~13일 이틀간 서울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확인되었다.
가상 양자 대결에서는 범야권 단일 후보로 오세훈 후보와 안철수 후보 중 누가 되더라도 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의 양자대결에서는 각각 지지율이 33.1%, 51.8%로 나타나 오세훈 후보가 앞섰고, 민주당 박영선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의 양자대결에서는 각각 지지율이 32.3%, 53.7%로 안철수 후보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세훈 후보, 안철수 후보 모두 전체 연령대에서 지지율이 박영선 후보보다 높았다.
LH 직원 부동산 투기 의혹 사건,
■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영향 미칠 것’ 75.4% > ‘영향 미치지 않을 것’ 22.4%
■ 대통령 대국민 사과 ‘필요 있다’ 61.5% > ‘필요 없다’ 32.3%
최근 불거진 3기 신도시 관련 LH직원 부동산 투기 의혹에 대하여,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묻는 질문에는 75.4%가 ‘영향을 미칠 것이다(매우 영향 44.3% + 어느 정도 영향 31.1%)’라고 답했으며, 22.4%가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다(별로 영향 미치지 않을 것 17.8% + 전혀 영향 미치지 않을 것 4.6%)’라고 답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이 국민들에게 사과할 필요가 있는지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61.5%가 ‘대통령이 사과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했고, 32.3%는 ‘대통령이 사과할 필요는 없다’고 응답했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은 6.2%였다.
에스티아이 이준호 대표는 “무당파 유권자들의 표심 이동이 가속화하고 있다. LH사건이 결정적 요인으로 풀이된다. 불공정과 반칙에 대한 유권자들의 누적된 불만이 선거 국면에서 여권에 대한 분노로 향하고 있다.”고 진단하였다. 또한 “여야 후보간의 큰 격차가 어떤 영향을 미칠지는 아직 미지수”라며 “격차가 벌어지면 벌어질수록 3자구도의 유혹이 커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내다보았다.
후보 호감도,
■ [호감] 오세훈 52.6% > 안철수 51.4% > 박영선 35.1%
■ [비호감] 박영선 59.6% > 안철수 45.1% > 오세훈 42.8%
박영선 후보, 오세훈 후보, 안철수 후보의 호감도를 각각 물어보았을 때, 오세훈 후보가 ‘호감이 간다’는 응답이 52.6%(매우 호감 27.0% + 어느 정도 호감 25.6%)로 가장 높았고, 안철수 후보가 51.4%(매우 호감 20.4% + 어느 정도 호감 30.9%), 박영선 후보가 35.1%(매우 호감 19.1% + 어느 정도 호감 16.0%) 순으로 나타났다.
‘호감이 가지 않는다’는 응답은 박영선 후보가 59.6%(전혀 호감 안감 36.2% + 별로 호감 안감 23.5%)로 가장 높았고 안철수 후보가 45.1%(전혀 호감 안감 25.6% + 별로 호감 안감 19.6%), 오세훈 후보가 42.8%(전혀 호감 안감 24.1% + 별로 호감 안감 18.6%)순으로 나타났다.
이 대표는 “오세훈, 안철수 두 후보의 호감층 비율은 대체로 비슷하게 나타났다.”면서도, “‘매우 호감’에서 오세훈 후보가 안철수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앞서고 있다. 박빙으로 치닫는 두 후보간 대결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흥미로운 대목이다.”고 지적하였다.
윤석열 전 총장 ‘제3지대 신당’ 창당할 경우,
■ [현재] 국민의힘(36.8%) > 더불어민주당(30.7%) > 국민의당(5.9%)
■ [윤석열 창당 가정] 윤 제3지대 신당(28.0%) > 더불어민주당(21.8%) > 국민의힘(18.3%)
서울시민의 정당 지지율은 국민의힘(36.8%), 더불어민주당(30.7%), 국민의당(5.9%), 정의당(4.4%), 열린민주당(2.9%) 순이었다.
윤석열 전 총장이 제3지대에서 신당을 창당할 경우 지지 정당을 묻는 질문에 ‘윤석열 제3지대 신당’이라는 응답이 28.0%였고, 이어서 ‘더불어민주당’(21.8%), ‘국민의힘’(18.3%), ‘국민의당’(7.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지정당별로는 ‘국민의힘’ 지지층 중 40.9%, ‘국민의당’ 지지층 중 44.9%가 ‘윤석열 제3지대 신당’을 지지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이 대표는 “윤석열 제3지대 신당이 출현할 경우, 여야 정당의 현재 지지층에 상당한 균열이 예상된다. 4.7. 재보선 이후 ‘윤석열발 정계 개편’의 파장이 적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귀국 3주만에 정계 은퇴한 반기문 당시 유엔사무총장도 한때 문재인 후보의 두 배 가까운 지지도를 보였다. 윤 전 총장 관련된 여러 조사 결과에 대해서도 ‘검증 이전’임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수행에 대해 ‘잘하고 있다’는 응답이 32.6%(매우 잘 함 17.2% + 잘하는 편 15.4%)였고, ‘잘못하고 있다’는 응답이 63.5%(매우 잘못함 47.0% + 잘못하는 편 16.5%)였다. (잘 모르겠다 4.0%)
※ 몇몇 언론에서 보도된, 본 조사에 대한 의문사항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Q. 60대 이상 표본이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이 추출되었다?
A. 서울시 유권자 중 60대 이상 유권자의 인구비율은 27.2%로 연령대 중 가장 많습니다. 본 조사에서 추출된 60대 이상 응답자의 비율은 33.6%로, 가중값 배율은 0.81입니다. 이는 여론조사심의위원회 가중값 배율 기준 범위를 충족하며, 타 기관의 조사에서도 이 정도 수준의 가중값 배율은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통계산출시 인구 비율에 따른 가중치를 적용하기 때문에, 전체 결과에 60대 이상 응답층의 의견이 과도하게 반영되지 않습니다.
Q. 질문지의 표현이 bias를 유발할 수 있다?
A. 본 조사 질문지에서는 민주당 박영선 후보가 범여권 단일후보가 되는 상황을 가정하여 질문한다고 먼저 설명하고 있고, 이후 범야권 후보가 오세훈, 안철수 후보로 결정되는 경우를 각각 물어보고 있으므로, 질문지에 범야권 후보들의 이름만 많이 노출되어 bias를 유발할 수 있다는 주장은 근거가 부족합니다. 본 조사와 같은 방식의 질문 표현은 타 조사에서도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자세한 설명은 첨부자료를 확인해 주십시오.
< 조사 개요 >
조사 제목 : 서울시장 보궐선거 및 현안 여론조사
조사 기간 : 2021년 3월 12일~13일
조사 대상 : 서울특별시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
조사 방식 : 휴대전화 가상번호 자동응답방식
표본 추출 방법 : 성별, 연령별, 지역별 가중값 부여, 셀가중 (2021년 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3.1%p
응답률 : 8.5%
※ 문의 : (주)에스티아이 박재익 책임연구원 (02-785-9123)
※ 보도자료는 하단에 첨부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