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의 이용과 확증편향층의 형성 및 그 특징

– ‘미디어를 통한 정보습득 및 의식 형성 관련 인식 조사’ 결과 –

1. 사회갈등에 대한 인식

– 우리 사회 가장 심각한 갈등은 ‘보수집단 진보집단 갈등’

– 우리 사회 심각성(1~5점) : 과거(5년전) 3.29 – 현재 3.92 – 미래(5년 후) 3.95

– 정치성향별로 ‘진보’층에서 현재의 사회갈등 심각성을 가장 높게 평가

2. ‘나와 정치적 의견이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온도*

– ‘나와 정치적 의견이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온도 ‘진보층’에서 가장 낮아

(‘중도층’ 51.6° > ‘보수층’ 50.5° > ‘진보층’ 42.3°)

*감정온도 : 대상에 대한 감정을 온도로 나타냄. (0도-아주 차가운 느낌 ~ 100도-아주 따뜻한 느낌)

3. 미디어 이용 행태

– 정치·사회 현안 관련 정보 얻는 매체는, ‘인터넷 기사’ 38.3% > ‘TV 뉴스’ 37.6% > ‘유튜브’ 11.7%순

– 20대에서 유튜브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고, 40대에서 가장 낮아. (20대 16.2%, 30대 13.6%, 40대 6.9%, 50대 11.2%, 60대 11.4%)

4. 가짜뉴스 판별과 확증편향

– 진보성향 진짜/가짜뉴스, 보수성향 진짜/가짜뉴스, 비이념성향 진짜/가짜뉴스 총 6개의 뉴스 헤드라인을 제시하고 얼마나 신뢰하는지 응답하게 하였을 때, 지지정당이 있는 응답자들은 뉴스의 진위 여부와 상관없이 자신의 지지정당이나 정치성향에 유리한 뉴스는 상대적으로 더 믿고, 불리한 뉴스는 덜 믿는 경향이 나타났음.

5. 확증편향층의 구성

– 자기진영 성향의 가짜뉴스를 신뢰하고 반대진영 성향의 진짜뉴스를 신뢰하지 않는 층을 확증편향층으로 정의했을 때, 확증편향층은 민주당 지지층에서 국민의힘 지지층보다 비율 높아 (민주당 지지층 중 36.5%, 국민의 힘 지지층 중 18.0%가 확증편항층으로 분류)

– 확증편향층 5~60대가 상대적으로 많고, 유튜브를 상대적으로 많이 이용하는 편. 정치 고관심층으로 구성되어 있음. (정치 관심도 ‘매우 관심 있다’ 37.0%)

6. 확증편향층이 나타내는 모습

– 확증편향층에서는 ‘나와 정치적 의견이 다른 사람’에 대한 감정온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확증편향층 39.1도, 비확증편향층 51.8도) 

– 본인 스스로의 확증편향적 태도에 대해서는, ‘확증편향적 태도를 취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비확증편향층보다 높음. (본인의 확증편향적 태도 ‘그렇지 않다’ 응답 – 확증편향층 26.6%, 비확증편향층 16.0%)

< 조사 개요 >

조사 기간 : 2023년 3월 10일 ~ 16일

조사 대상 : 전국 만 18세 이상 69세 이하 성인 남녀 1,056명

조사 방식 : 스마트폰 앱 조사

표본추출방법 : 온라인 패널에서 무작위 추출

가중값 산출 및 부여 방법 : 성별, 연령별, 권역별 가중값 부여 (2023년 2월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표본 오차 :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3.0%p

응답률 : 10.7%

그 밖의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 문의 : (주)에스티아이 02-785-9564

※ 보도자료는 하단에 첨부되어 있습니다.